인천대학교 베트남 학생들(한국). 출처: VNA
고급 인력을 확보하고 고령화 개선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2027년까지 30만 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해 유학, 일자리 창출, 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부는 8월 16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한국 유학파 30만명 프로젝트'(Study Korea 300K Project)를 발표했다. 교육부의 목표는 2022년에 비해 거의 두 배 증가한 2027년까지 30만 명의 외국인 학생을 유치하는 것이다. 이 가운데 학위과정 유학생은 12만4000명에서 22만명으로 늘어나 한국을 국제학생수 세계 10위권에 진입시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부터 학업, 취업, 정착까지 지자체가 주도하는 체계적인 지원 전략을 마련하고 이공계 국가 인재 확보라는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우선 유학생 유치에 최대한 유리한 여건을 조성할 예정이다. 과거 한국은 구·군에 '국제교육특구' 설치를 허용했다가 정책 통합과 연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도 차원에서 '외국인 영재교육 국제화특구'로 명칭을 변경했다. 시, 도의 범위 규모로 시행되면 각 지역은 지방 및 시의 개발 전략에 따라 외국인 학생들을 유치, 교육, 학업 및 일자리를 연계할 것이다. 교육부는 또한 대학에 대한 국제 학생 제한 규정을 없애기 위해 예외 적용을 고려할 것이다.
이와 함께 한국 정부는 해외 유학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해외에 한국 문화 교육 센터 내에 '국제 학생 유치 센터'를 설립하고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한국어 능력 규제 등 학생들에 대한 입학 요건을 낮출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국제학생의 입학기준은 중학교 합격 후 토픽 3급 이상이거나 심화 한국어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만간 법무부와 구체적인 기준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입학사정관만으로 한국어 기준을 낮추는 것은 TOPIK 4등급을 받아야 한다는 졸업조건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유학생을 위해 정부는 대학, 현지법인,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구성된 '해외인재 유치전략팀(TF)'을 구성해 혁신대학에 적합한 학문·직업디자인을 지원할 계획이다.